스노보드는는 알파인계열의 평행대회전(Parallel Giant Slalom),
스노보드 크로스(Snowboard Cross),
프리스타일 계열의 스노보드 하프파이프(Snowboard Halfpipe),
스노보드 빅에어(Snowboard Big Air), 스노보드 슬로프 스타일(Snowboard Slope Style)로 나뉘어진다.

평행대회전

Parallel Giant Slalom

평행대회전은 표고차 200 ~ 400m에서 대략 550미터 길이의 평행 코스에서 두 명의 선수가 동시에 출발하여 18개~25개(최대 30개)의 기문을 통과한다. 각 코스에서 16위 까지 코스를 바꾸어 2차 런을 진행하는데, 2차 런의 순서는 1차 기록이 빠른 선수가 후 순위이다. 1차 런과 2차 런의  기록을 합산하여, 상위 16위까지 토너먼트로 결승을 진행한다. 결승 16강은, 빨리 결승선을 통과한 선수가 승리하는 경기이다.

토너먼트 대진표는 4-13, 5-12, 8-9, 1-16, 2-15, 7-10, 6-11, 3-14 의 순서로 진행되며, 예선 기록이 좋은 선수가 코스를 선택한다. 평행회전 경기 방식도 동일하며 회전 반경의 차이가 있다.

스노보드 크로스

Snowboard Cross

4명이 1 개조로 모글과 점프를 하는 코스에서 경주하는 경기로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코스는 14~18도의 경사, 500m~ 900m의 길이, 최소 40m 넓이로 구성 되어야 하며, 40~70초가 소요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결승지점은 해발 100m~240m 사이에 설치되어야 한다.

크로스경기는 예선에서 2번의 시간기록합산점수를 통해 32명의 본선 진출자를 가린다. – 1조의 4명의 구성으로 상위2명이 다음라운드로 진출하게 되며 32명→16명→8명→4명 순으로 순위를 가린다.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Snowboard Halfpipe

기울여진 반원통형 슬로프에서 5번~8번의 공중회전과 점프 등 공중연기를 5명의 심판이 기본동작, 회전, 테크닉, 난이도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채점하여 합산, 순위를 결정하는 경기로 3번의 라운드를 통해 순위를 정하게 되는데 선수 당 2차시기 중 최고점수를 통해 다음으로 진출하게 된다. 코스는 16~18도의 경사, 120~140m의 길이로 구성되며, 반원통의 너비는 16~18m, 높이는 3.5~4.5m로 구성되어야 한다.

남자경기예선은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를 하고 각 그룹별 상위 3명(총 6명)은 결승으로 직행하고 6명의 선수는 준결승을 거쳐 결승으로 진출한다. 여자경기예선은 1개의 그룹에서 상위 6명이 결승으로 직행하고 12명의 선수는 준결승을 거쳐 결승으로 진출한다.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

Snowboard Slopestyle

슬로프스타일은 점프, 레일, 테이블, 박스, 웨이브, 빅에어 등 다양한 코스에서 열리는 경기이며 선수는 두 개 또는 더 많은 라인에서 선택하여 경기를 할 수 있다. 예선전을 통해 최대(남24명,여12명)이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3명~6명의 심판으로 운영) 코스는 대략 12도 경사의 슬로프에서 최소 너비 30m, 최소 표고차 100~ 최대 200m를 갖추어야 한다.

스노보드 빅에어

Snowboard Big Air

1개의 큰 점프대를 도약하여 플립, 회전 등의 공중묘기를 선보이는 경기이다. 토너먼트, 잼 방식, 투 런 베스트(2번 연기 → 1개의 높은 기록으로 순위 결정), 쓰리 런 베스트 (3번 연기 → 2개의 높은 기록 합산으로 순위 결정) 등 다양한 경기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예선은 투 런 베스트, 결승은 쓰리 런 베스트로 진행하며, 선수의 공중동작, 비거리, 착지 등이 채점기준, 5~6명의 심판이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를 결정, 가장 높은 점수와 가장 낮은 점수를 제외한 3~4명의 점수의 평균으로 점수를 결정한다. 올림픽, 슬로프스타일 및 하프파이프 출전 선수들의 중복 참가도 예상된다.